금 투자를 고민할 때 가장 많이 하는 질문이 있습니다. "실물 금을 사야 할까? 아니면 KRX 금을 사야 할까?"
두 가지 방법 모두 장점과 단점이 있으므로, 본인의 투자 목적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실물 금과 KRX 금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어떤 방식이 더 적합한지 분석해보겠습니다.
1. 실물 금 투자 (골드바, 금화)
실물 금 투자는 직접 금을 소유하는 방식으로, 골드바, 금화, 순금 주얼리 등의 형태로 보유할 수 있습니다.
✅ 실물 금의 장점
- 실물 보유 가능: 위기 상황에서 직접 자산으로 활용 가능
- 전 세계 어디서나 가치 보장: 글로벌 자산으로 현금화 용이
- 금융시장과 독립적: 증권시장 변동성과 무관하게 투자 가능
✅실물 금의 단점
- 부가가치세 10% 부담: 금 구매 시 추가 비용 발생
- 보관 문제: 도난 위험, 금고 또는 안전한 보관 필요
- 매매 시 추가 비용: 감정료, 세공비 등이 발생할 수 있음
2. KRX 금 투자 (한국거래소 금)
KRX 금은 한국거래소에서 1g 단위로 금을 사고팔 수 있는 제도이며, 부가세(10%)가 붙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 KRX 금의 장점
- 부가세 없음: 실물 금보다 저렴하게 구매 가능
- 1g 단위 소액 투자 가능: 적은 돈으로도 투자 가능
- 거래 편의성: 주식처럼 증권사 HTS/MTS에서 쉽게 매매 가능
- 보관 부담 없음: 한국거래소에서 안전하게 보관
✅KRX 금의 단점
- 실물 인출 시 10% 부가세 부과
- 주식시장 운영 시간에만 거래 가능 (평일 09:00~15:30)
- 국제 금 시세와 차이 발생 가능
3. 실물 금 vs KRX 금 비교 정리
항목 | 실물 금 (골드바, 금화) | KRX 금 (한국거래소) |
---|---|---|
구매 방식 | 금은방, 은행, 거래소 | 증권사 HTS/MTS |
투자 단위 | 10g, 100g, 1kg 단위 | 1g 단위 소액 투자 가능 |
부가가치세 | 구매 시 10% 부과 | 부과 없음 (단, 실물 인출 시 부과) |
보관 방법 | 개인 보관 (금고 필요) | 한국거래소 보관 |
매매 편의성 | 금은방, 거래소 직접 방문 | 증권사 HTS/MTS에서 매매 가능 |
추천 투자 목적 | 실물 자산 보유, 장기 투자 | 단기 투자, 편리한 거래 |
4. 어떤 투자 방법이 더 좋을까?
✅실물 금 추천 대상
- "나는 실물 자산을 직접 보유하고 싶다"
- "경제 위기 상황에서 안전자산을 확보하고 싶다"
- "장기적으로 보유할 계획이 있으며, 보관할 공간이 있다"
✅KRX 금 추천 대상
- "부가세 없이 금을 저렴하게 사고 싶다"
- "소액으로도 금 투자를 시작하고 싶다"
- "주식처럼 편리하게 사고팔고 싶다"
- "실물 보유보다 유동성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5. 실물 금과 KRX 금을 함께 투자하는 전략
- 기본적인 금 투자는 KRX 금으로 소액 시작
- 위기 대비를 위해 일부 실물 금 보유
- 장기적으로 분할 매수하여 평균 단가 조정
✔ "편하게 투자하고 싶다" → KRX 금 추천
✔ "실물 자산을 보유하고 싶다" → 실물 금 (골드바, 금화) 추천
✔ "둘 다 활용해서 리스크를 줄이고 싶다" → KRX 금 + 실물 금 혼합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