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득 없는 주부도 받을 수 있는 2025 정부 지원금 총정리!

by stella67kr 2025. 5. 17.

 

가정의 살림을 책임지고 있지만, 직접 소득이 없는 전업주부라면 때때로 경제적인 부담이 크게 느껴질 수 있어요.

특히 자녀 양육, 부모 돌봄, 생활비까지 감당하다 보면 "혹시 나도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은 없을까?" 하는 생각이 들곤 하죠.

다행히도 정부는 소득이 없거나 낮은 주부를 위한 다양한 복지 제도를 마련해두고 있어요.

하지만 정보가 흩어져 있어 직접 찾기 어렵다는 게 가장 큰 문제죠.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소득이 없는 주부도

신청 가능한 정부 지원금과 복지 혜택을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1.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지원금

  • 생계급여: 소득과 재산이 기준 중위소득의 30% 이하일 경우 신청 가능
  • 의료급여: 병원 진료비 본인부담 대폭 감소
  • 주거급여: 전·월세 가구에 대해 임대료 일부 지원
  • 교육급여: 자녀의 학용품비, 입학준비금 지원

배우자의 소득이 있더라도 가구 전체의 소득인정액 기준이 맞으면 수급자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청 가능해요.

 

 

2. 한부모 가정 및 조손가정 지원금

  • 한부모 가족 아동양육비: 18세 미만 자녀 양육 시 매월 약 20만 원 지원
  • 학용품비 및 생활보조비: 저소득 한부모 가정 대상 추가 지원

소득 기준은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이며, 배우자가 없는 경우나 실질적으로 혼자 자녀를 키우는 상황에서도

신청할 수 있어요.

 

 

3.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금

과거 직장 경력이 있지만 현재는 가사에 전념 중이라면 '경력단절여성 취업 지원 제도'를 활용할 수 있어요.

  • 내일배움카드 (국민내일배움카드): 직업훈련비 최대 300~500만 원 지원
  • 취업성공패키지: 상담부터 취업까지 맞춤 지원, 참여수당 지급

고용노동부 또는 HRD-Net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하며, 학습비 부담 없이 새로운 직무를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랍니다.

 

 

4. 긴급복지지원제도

남편의 실직, 갑작스런 질병 등으로 일시적인 위기 상황에 놓인 경우, 생계비나 의료비를 긴급 지원받을 수 있어요.

  • 생계비: 4인 가구 기준 최대 월 153만 원 (6개월 한도)
  • 의료비: 1인 최대 300만 원까지 지원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관할 주민센터에 문의하면 빠르게 심사 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5. 육아 관련 수당과 바우처

  • 아동수당: 만 8세 미만 자녀 1인당 매월 10만 원 지급
  • 영아수당: 만 0~1세 가정 대상 월 최대 70만 원 지급
  • 가정양육수당: 어린이집 미이용 가정 대상 매월 20~30만 원

모든 항목은 복지로(www.bokjiro.go.kr)에서 온라인 신청이 가능하며, 주민센터 방문 접수도 가능합니다.

 

2025년에도 주부를 위한 복지는 계속됩니다

소득이 없다고 해서 복지의 사각지대에 머물 필요는 없어요. 정부는 다양한 상황에 맞는 제도를 마련해두고 있으며,

단지 많은 분들이 그 정보를 잘 몰라서 신청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린 지원금들은 신청만 잘 하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것들이에요. 생활이 조금 더 가벼워질 수 있도록

지금 바로 확인하고, 필요한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